그때 내주셨던 문제 모두 정답이여서 따로 오답 작성은 안하도록 하겠다!
다만 마지막 문제의 질문은 아직 해결하지 못하였기에 내일 수영장 가서 여쭤봐야겠다!
오늘의 문제!
문제 1
다음 중 '숨을 참은 끝에 발생하는 심한 저산소증으로 인해 의식을 완전히 잃은 상태'를 의미하는 한 가지를 고르시오.
1.LMC – 운동신경조절장애 초과호흡
2.BO – 의식상실 청색증
A : 2번 Black Out을 뜻하는 Bo.
문제 2
BO 나 LMC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모두 고르세요.
1. 자각이나 경험은 BO나 LMC를 예방하는 핵심 내용이다.
2. 다이빙 전에 초과호흡을 하지 않는다!
3. 프리다이빙을 할 때 수심이나 시간을 늘릴 때 여러번 반복하며 차근차근 늘려나간다.
4. 긴장완화운동이 숨참기를 준비하기 위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A : 2번, 3번, 4번 으로 생각되나 4번의 가장 안전한 방법인가.... 가장? 이라는 단어가 신경이 쓰인다.
문제 3
버디가 운동신경조절장애(LMC)를 겪고 있음을 나타내는 징후를 4가지 이상 적으시오.
A : 손, 발, 머리, 다리 등 몸에 일어나는 경련성 움직임, 머리를 수면 밖으로 유지하지 못함, 초점 흐린 눈,
문제 4
당신에게 의식상실(BO)이 다가오고 있음을 나타내는 증상을 4가지 이상 적으시오.
A : 이명, 터널 시야, 따뜻한 느낌, 손발이 저리거나 감각이 없음,

오늘은 압력평형에 대해 공부하였다
비행기를 타거나 높은 산에 올라가면 귀가 먹먹해짐을 느끼지않았는가? 우리가 생활하는 곳과 하늘 높이 올라간곳의 압력이 다르기 때문인데 물 또한 하늘과 같다.
따라서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압력은 높아진다.
여기서 우리가 과학시간에 배웠던 '보일의 법칙'이 나온다.
우리가 현재 생활하고 있는 곳은 0m라고 했을때 우리는 1bar의 압력을 갖는다. 프리다이빙 또는 스쿠버다이빙을 하기 위해 10m를 내려간다고 한다면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기에 2배가 되어 2bar가 된다. 그렇다면 내가 가고싶은 15m는 2.5bar가 되는것이다!
5m 이상으로 못내려가고 있는 나의 고막은 압력변화로 팽팽해지기 시작하며 이퀄을 통해 압력평형이 이루어져야하지만 안되고있다. 이론책에서 배웠듯 압력의 느낌이 통증으로 변할때까지 하강해서는 안되며 이를 이행하지않을 경우 나처럼 손상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항상 강사님들께서 아프면 내려가지 말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있으나... 사람의 욕심이라는게 잘 안된다. 혹시 이퀄이 잘되지않아 이 글을 읽게 되는 누군가가 있다면 꼭 이퀄이 잘되는가 안되는가는 정말 아무런 통증이 없어야된다는걸 알려주고 싶다... 조금의 통증도 없어야 조금 더 내려갈수 있는 시점이라는것을 명심해야한다.
프리다이빙시 우리의 공기 공간은 총 4곳에 공기를 채운다. 당연하게 1번 양쪽의 폐에 공기를 넣을테고, 내려가다보면 압력이 느껴지는 마스크안에도 당연히 공기가 들어가있다. 그리고 나도 어려운 양쪽 귀, 부비강! 이렇게 총 4곳이다.
이번 공부를 통해 알게 된 것은 폐를 제외한 나머지 공기 공간들은 단단한 저장소이므로 보일의 법칙에 나온 풍선처럼 우그러들지 못한다는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폐를 제외한 나머지 3공간들로 공기를 이동시키며 압력 평형을 행해야한다는것이다.
압력평형이 이루어지지않았을때 제일 불편한 곳은 귀라고 느껴진다. 이번 사진을 통해 왜 귀가 아픈지를 알게되었다.
기본적으로 내려갈때 수압으로 인해 고막이 안쪽으로 밀리게 된다. 우리가 사전이퀄을 통해 고막을 느슨하게 만들어 두고 내려가면서 안쪽으로 더 밀리기전에 계속해서 고막을 느슨하게 만드는것이다. 따라서 압력평형은 고막의 움직임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듯하다. 비행기 탔을때 우리의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이 들었을때가 바로 고막이 안쪽으로 밀린 상태이며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거나 또는 코를 잡고 흥 했을때 다시 원상태로 돌아온다는 그 느낌이 바로 압력평형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압력평형의 기술로는 2가지 정도로 설명하고 있다.
발살바 기술과 프렌젤 기술
스쿠버를 했던 나로써는 발살바 기술에는 문제없이 잘 행할수있으나, 프리다이빙을 시도하고 있는 지금으로썬 프렌젤 기술을 익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내일은 압력평형 기술에 대해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Free Diving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다이빙 이론 과정_5 (0) | 2025.04.18 |
---|---|
프리다이빙 이론 과정_3 (1) | 2025.04.10 |
프리다이빙 이론 과정_2 (1) | 2025.04.09 |
프리다이빙 이론 과정_1 (1) | 2025.04.08 |